장교 월급/연봉(소위, 중위, 대위, 소령, 중령, 대령, 준장, 소장) - 2024년
장교란?장교는 한국군에서 위관급 이상의 계급의 간부를 말합니다. 부사관과 병을 지휘하는 계급으로 사관학교나 일반대학교 재학자 또는 졸업자들 가운데 선발됩니다. 장교와 대응되는 상대어는 사병으로서 부사관과 병을 일컬으며, 장교와 사병을 함께 장병이라 부른다.과거 군대를 지휘하는 장군, 장수가 현대에 이르러서는 장교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신분제 시대에서 장교는 무조건 귀족만 임관이 가능한 엘리트 집단이었습니다. 장교는 사관학교, 3사, 학군, 학사, 군 가산복무 지원금 지급대상자 그리고 자신의 경험과 전공을 살리면서 복무할 수 있는 간부사관, 전문사관 등 여러 경로를 통해 장교로 임관하여 복무할 수 있습니다. 장교의 계급장교는 위관급 이상의 계급을 지닌 신분입니다. 병과 부사관을 명령하는 계급으로,..
2024. 9. 8.
준위 월급/연봉 - 2024년
준위(준사관)란?준사관은 군대 계급 중 하나로서, 대한민국 국군에서의 준사관은 사관 즉 장교 바로 아래, 부사관의 바로 위에 속해 장교급의 대우를 받는 간부급 군인을 말합니다. 준사관은 보통 준위와 사관생도를 말합니다. 국군의 경우 현행법령상 사관생도는 사관학교설치법 시행령 제2조 제3항에 의거하고, 준위는 민간인이 시험을 쳐서 임관할 수 있고, 부사관(원사, 상사, 중사, 하사)의 경우 상사 이상의 계급에서 시험에 합격해야만 준위로 진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행법령상 준위와 사관생도가 준사관의 분류 군(群)에 속합니다. 다만 준위와 사관생도와 동일한 예우를 받지는 않고, 준위가 사관생도보다 상위의 계급에 속합니다. 현재 육, 해, 공 준위 인원은 약 6,000명 수준입니다. 기술/행정 준..
2024. 9. 8.
부사관 월급/연봉(하사, 중사, 상사, 원사) - 2024년
부사관이란?부사관은 군대에서 장교와 병사 사이에 있는 계층의 간부로서 하사/중사/상사/원사의 계급을 가진 육/해/공군의 군인을 가리킵니다. 부사관은 통상 육군의 분/소대와 같은 규모의 집단을 지휘하거나, 전투기본교육, 보급/정비, 행정, 부대관리 등의 기술과 숙련을 요하는 분야에서 전문가로 임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각급 제대의 지휘관을 보좌하며, 후배 부사관 및 사병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또한 군의 최일선 초급간부로서 법령, 규칙, 계획 등의 범위 내에서 일상적이고 규칙적인 업무의 처리를 구체적으로 감독, 지시, 통제 또는 직접 수행하는 기능적 요원입니다. 임관 및 직급부사관이란 국가공무원으로 직업군인을 선택하여 지원 합격한 사람 중 소정의 교육을 이수하고 하사로 각 군에 임관된 사람을 말..
2024. 9. 8.
2급 공무원 월급(연봉) - 2024년
2급 공무원 개요1급인 관리관의 아래이고, 3급인 부이사관의 위이며, 중앙관청의 국장급입니다. 국가공무원으로는, ① 행정기관 소속 공무원인 별정직군 일반 행정직류의 이사관, 공안직군의 교정이사관, 검찰이사관·출입국관리 이사관, 광업직군의 광업이사관, 농림수산직군의 농림이사관, 축산이사관·수의이사관·수산이사관, 물리직군의 물리리이사관, 보건직군의 보건이사관·의무이사관·약무이사관·간호이사관, 교통직군의 교통이사관·선박이사관·항공이사관·수로이사관, 시설직군의 시설이사관, 정보통신직군의 정보관리이사관·정보통신이사관 ② 국회소속 공무원인 행정직군 일반행정직렬 이사관 ③ 법원소속 공무원인 법원행정사무직군 법원사무직류의 법원이사관 등이 있다. 지방공무원으로는 행정직군 일반행정직류의 지방이사관이 있습니다. 2급 ..
2024. 8.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