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성씨 본관 순위 1위~200위(본관 수, 기원 지역, 혈통, 시조, 가문) - 2025년
한국 성씨 본관 순위 총정리
한국의 성씨와 본관은 단순한 이름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 조상들의 뿌리, 혈통, 그리고 지역적 기원을 함께 담고 있는 중요한 문화유산입니다.
오늘은 가장 많이 쓰이는 본관 순위부터, 흥미로운 역사적 배경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의 본관이란?
한국의 본관(本貫) 은 같은 성씨라도 조상의 출신 지역이나 시조의 정착지를 기준으로 구분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김씨’라고 해도 김해 김씨, 경주 김씨, 안동 김씨 등 수많은 본관이 존재합니다.
즉, 본관이 다르면 혈통이 다르다는 의미입니다.
본관 제도는 고려 시대에 자리 잡고, 조선 시대에 이르러 족보와 함께 체계적으로 관리되었습니다.
이는 근친혼을 방지하고 가문을 구분하는 기능을 하면서,
지금도 제사, 족보, 혼인 등에서 중요한 기준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한국의 본관은 몇 개일까?
현재 한국에는 약 8,000개 이상의 본관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그중 일부는 조선 시대 이후에도 계속 세분화되었습니다.
그러나 실제 인구 분포를 보면,
상위 20개 본관만으로 전체 국민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할 정도로 집중되어 있습니다.
🔹 한국 본관 인구 순위 TOP 25
1위~25위
본관 1위는 김(金) 으로 본관수는 1,010 개이며, 김해(金海) 등이 있습니다. 본관 2위는 이(李) 으로 본관수는 941 개이며, 전주(全州) 등이 있습니다. 본관 3위는 박(朴) 으로 본관수는 488 개이며, 밀양(密陽) 등이 있습니다.
순위 | 성씨 | 본관 수 | 대표 본관 |
1 | 김(金) | 1,010 |
김해(金海), 경주(慶州),
광산(光山), 김녕(金寧) |
2 | 이(李) | 941 |
전주(全州), 경주(慶州),
성주(星州), 광주(廣州) |
3 | 박(朴) | 488 |
밀양(密陽), 반남(潘南),
함양(咸陽), 순천(順天) |
4 | 최(崔) | 431 |
경주(慶州), 전주(全州),
해주(海州), 강릉(江陵) |
5 | 정(鄭) | 350 |
동래(東萊), 경주(慶州),
진주(晉州/진양), 연일(延日) |
6 | 임(林) | 341 |
나주(羅州), 평택(平澤/팽성),
부안(扶安), 예천(醴泉) |
7 | 전(全) | 274 |
천안(天安), 정선(旌善)
|
8 | 장(張) | 268 |
인동(仁同), 안동(安東),
흥성(興城/흥덕), 단양(丹陽) |
9 | 조(趙) | 252 |
한양(漢陽) ,함안(咸安),
풍양(豊壤) |
10 | 송(宋) | 246 |
여산(礪山), 은진(恩津)
|
11 | 황(黃) | 238 |
창원(昌原), 장수(長水),
평해(平海), 우주(紆州) |
12 | 오(吳) | 214 |
해주(海州), 동복(同福),
보성(寶城) |
13 | 배(裵) | 209 |
성주(星州), 분성(盆城/김해),
달성(達城) |
14 | 진(陳) | 203 | 여양(驢陽) |
15 | 천(千) | 199 | 영양(潁陽) |
16 | 노(盧) | 197 |
교하(交河), 광주(光州),
풍천(豊川) |
17 | 유(劉)[劉] | 196 |
강릉(江陵/한양)
|
18 | 전(田) | 195 | 담양(潭陽) |
19 | 윤(尹) | 168 |
파평(坡平), 칠원(漆原),
해남(海南), 해평(海平) |
20 | 한(韓) | 167 | 청주(淸州) |
21 | 고(高) | 164 |
제주(濟州), 횡성(橫城),
장흥(長興) |
22 | 문(文) | 164 | 남평(南平) |
23 | 안(安) | 163 |
순흥(順興), 죽산(竹山),
광주(廣州) |
24 | 유(柳)[柳] | 162 |
문화(文化), 전주(全州),
진주(晋州), 고흥(高興) |
25 | 주(朱) | 159 | 신안(新安) |
26위~50위
본관 26위는 서(徐) 으로 본관수는 156 개이며, 달성(達城) 등이 있습니다. 본관 27위는 신(申) 으로 본관수는 155 개이며, 평산(平山) 등이 있습니다. 본관 28위는 강(姜) 으로 본관수는 151 개이며, 진주(晉州/진양) 등이 있습니다.
순위 | 성씨 | 본관 수 | 대표 본관 |
26 | 서(徐) | 156 |
달성(達城), 이천(利川),
대구(大丘), 부여(扶餘) |
27 | 신(申) | 155 |
평산(平山), 고령(高靈),
아주(鴉洲) |
28 | 강(姜) | 151 |
진주(晉州/진양)
|
29 | 현(玄) | 143 | 연주(延州) |
30 | 남(南) | 139 |
의령(宜寧), 영양(英陽),
고성(固城) |
31 | 홍(洪) | 134 | 남양(南陽) |
32 | 차(車) | 128 | 연안(延安) |
33 | 백(白) | 127 | 수원(水原) |
34 | 양(梁) | 126 |
남원(南原), 제주(濟州),
충주(忠州) |
35 | 정(丁) | 126 |
나주(羅州), 압해(押海),
영광(靈光) |
36 | 손(孫) | 125 |
밀양(密陽), 경주(慶州)
|
37 | 유(兪) | 123 |
기계(杞溪), 무안(務安)
|
38 | 조(曺) | 116 | 창녕(昌寧) |
39 | 임(任) | 109 |
풍천(豊川), 장흥(長興/정안)
|
40 | 방(方) | 98 |
온양(溫陽), 군위(軍威),
경주(慶州), 남원(南原), 원영(原榮) |
41 | 구(具) | 94 |
능성(綾城/능주)
|
42 | 강(康) | 92 |
신천(信川), 재령(載寧),
곡산(谷山) |
43 | 신(辛) | 91 |
영산(靈山), 영월(寧越)
|
44 | 허(許) | 90 |
양천(陽川), 김해(金海)
|
45 | 노(魯) | 89 |
함평(咸平), 광주(廣州),
강화(江華) |
46 | 추(秋) | 87 | 추계(秋溪) |
47 | 지(池) | 81 | 충주(忠州) |
48 | 함(咸) | 81 |
강릉(江陵), 양근(楊根/양평)
|
49 | 원(元) | 80 | 원주(原州) |
50 | 염(廉) | 80 |
파주(坡州/서원)
|
51위~75위
본관 51위는 하(河) 으로 본관수는 78개이며, 진주(晉州/진양) 등이 있습니다. 본관 52위는 곽(郭) 으로 본관수는 76 개이며, 현풍(玄風) 등이 있습니다. 본관 53위는 성(成) 으로 본관수는 76 개이며, 창녕(昌寧) 등이 있습니다.
순위 | 성씨 | 본관 수 | 대표 본관 |
51 | 하(河) | 78 |
진주(晉州/진양)
|
52 | 곽(郭) | 76 |
현풍(玄風), 청주(淸州)
|
53 | 성(成) | 76 | 창녕(昌寧) |
54 | 권(權) | 74 |
안동(安東), 예천(禮泉)
|
55 | 민(閔) | 74 | 여흥(驢興) |
56 | 우(禹) | 73 | 단양(丹陽) |
57 | 양(楊) | 73 |
남원(南原), 청주(淸州)
|
58 | 채(蔡) | 72 |
평강(平康), 인천(仁川)
|
59 | 여(呂) | 72 |
함양(咸陽), 성주(星州),
성산(星山) |
60 | 공(孔) | 70 | 곡부(曲阜) |
61 | 주(周) | 70 |
상주(尙州), 초계(草溪)
|
62 | 석(石) | 69 |
충주(忠州/홍주)
|
63 | 편(片) | 68 |
절강(浙江), 경주(慶州)
|
64 | 변(卞) | 67 |
초계(草溪), 밀양(密陽)
|
65 | 엄(嚴) | 66 | 영월(寧越) |
66 | 변(邊) | 65 |
원주(原州), 황주(黃州)
|
67 | 마(馬) | 65 |
장흥(長興), 목천(木川)
|
68 | 명(明) | 61 |
서촉(西蜀), 연안(延安)
|
69 | 표(表) | 58 | 신창(新昌) |
70 | 길(吉) | 57 |
해평(海平), 선산(善山)
|
71 | 나(羅)[羅] | 56 |
나주(羅州), 금성(錦城)
|
72 | 심(沈) | 55 | 청송(靑松) |
73 | 류(柳)[柳] | 55 |
문화(文化), 전주(全州),
풍산(豊山) |
74 | 왕(王) | 53 | 개성(開城) |
75 | 옥(玉) | 48 |
의령(宜寧), 의춘(宜春)
|
76위~100위
본관 76위는 진(秦) 으로 본관수는 48 개이며, 풍기(豊基) 등이 있습니다. 본관 77위는 반(潘) 으로 본관수는 47 개이며, 거제(巨濟) 등이 있습니다. 본관 78위는 인(印) 으로 본관수는 45 개이며, 교동(喬桐) 등이 있습니다.
순위 | 성씨 | 본관 수 | 대표 본관 |
76 | 진(秦) | 48 |
풍기(豊基), 남원(南原)
|
77 | 반(潘) | 47 |
거제(巨濟), 광주(光州),
기성(岐城) |
78 | 인(印) | 45 | 교동(喬桐) |
79 | 호(扈) | 45 |
신평(新平), 배천(白川)
|
80 | 위(魏) | 41 | 장흥(長興) |
81 | 도(都) | 40 | 성주(星州) |
82 | 제(諸) | 40 | 칠원(漆原) |
83 | 태(太) | 39 |
영순(永順), 협계(陜溪),
남원(南原) |
84 | 설(薛) | 37 |
순창(淳昌), 경주(慶州)
|
85 | 호(胡) | 37 |
가평(加平), 숭안(崇安),
파릉(巴陵), 평산(平山) |
86 | 탁(卓) | 36 | 광산(光山) |
87 | 봉(奉) | 35 |
하음(河陰), 강화(江華)
|
88 | 소(蘇) | 34 | 진주(晉州) |
89 | 선(宣) | 34 | 보성(寶城) |
90 | 은(殷) | 34 | 행주(幸州) |
91 | 사(史) | 34 | 청주(淸州) |
92 | 최(催) | 34 |
경주(慶州), 전주(全州)
|
93 | 동(董) | 34 | 광천(廣川) |
94 | 방(房) | 32 |
남양(南陽), 온양(溫陽)
|
95 | 기(奇) | 32 | 행주(幸州) |
96 | 피(皮) | 32 |
괴산(槐山), 단양(丹陽),
홍천(洪川) |
97 | 모(牟) | 30 | 함평(咸平) |
98 | 라(羅[羅]) | 29 |
나주(羅州), 금성(錦城)
|
99 | 남궁(南宮) | 29 | 함열(咸悅) |
100 | 어(魚) | 28 |
함종(咸從), 충주(忠州)
|
101위~125위
본관 101위는 석(昔) 으로 본관수는 28 개이며, 월성(月城) 등이 있습니다. 본관 102위는 신(愼) 으로 본관수는 27 개이며, 거창(居昌) 등이 있습니다. 본관 103위는 여(余) 으로 본관수는 27 개이며, 의령(宜寧) 등이 있습니다.
순위 | 성씨 | 본관 수 | 대표 본관 |
101 | 석(昔) | 28 | 월성(月城) |
102 | 신(愼) | 27 | 거창(居昌) |
103 | 여(余) | 27 | 의령(宜寧) |
104 | 연(延) | 26 | 곡산(谷山) |
105 | 육(陸) | 26 | 옥천(沃川) |
106 | 예(芮) | 26 |
의흥(義興), 의령(宜寧)
|
107 | 갈(葛) | 26 |
남양(南陽), 청주(淸州),
대구(大邱) |
108 | 복(卜) | 23 | 면천(沔川) |
109 | 온(溫) | 23 |
금구(金溝), 봉성(鳳城)
|
110 | 맹(孟) | 22 | 신창(新昌) |
111 | 용(龍) | 22 | 홍천(洪川) |
112 | 정(程) | 22 |
동래(東萊), 경주(慶州),
하남(河南) |
113 | 단(段) | 22 |
강음(江陰/김천), 가음(加音),
강릉(江陵), 연안(延安) |
114 | 계(桂) | 21 | 수안(遂安) |
115 | 진(陣) | 21 | 여양(驪陽) |
116 | 국(鞠) | 19 | 담양(潭陽) |
117 | 두(杜) | 19 |
두릉(杜陵/만경)
|
118 | 감(甘) | 18 |
회산(檜山), 창원(昌原)
|
119 | 장(蔣) | 17 | 아산(牙山) |
120 | 음(陰) | 17 |
죽산(竹山), 괴산(槐山)
|
121 | 빈(賓) | 17 |
달성(達城), 수성(壽城/대구),
밀양(密陽) |
122 | 승(承) | 17 |
연일(延日), 광산(光山)
|
123 | 금(琴) | 16 | 봉화(奉化) |
124 | 가(賈) | 15 |
소주(蘇州/소성)
|
125 | 진(晋) | 15 |
남원(南原), 진주(晉州)
|
126위~150위
본관 126위는 제갈(諸葛) 으로 본관수는 15 개이며, 남양(南陽) 등이 있습니다. 본관 127위는 경(景) 으로 본관수는 14 개이며, 태인(泰仁) 등이 있습니다. 본관 128위는 팽(彭) 으로 본관수는 14 개이며, 절강(浙江) 등이 있습니다.
순위 | 성씨 | 본관 수 | 대표 본관 |
126 | 제갈(諸葛) | 15 | 남양(南陽) |
127 | 경(景) | 14 |
태인(泰仁), 해주(海州),
경주(慶州), 시산(詩山) |
128 | 팽(彭) | 14 |
절강(浙江), 용강(龍江)
|
129 | 황보(皇甫) | 13 | 영천(永川) |
130 | 선우(鮮于) | 13 | 태원(太原) |
131 | 동(蕫) | 13 |
광주(廣州), 황주(黃州),
광천(廣川) |
132 | 유(庾) | 12 |
무송(茂松), 평산(平山)
|
133 | 시(柴) | 12 |
태인(泰仁), 능향(綾鄕)
|
134 | 우(于) | 12 |
목천(木川/천안)
|
135 | 장(莊) | 12 |
금천(衿川/과천), 장연(長淵)
|
136 | 모(毛) | 12 |
공주(公州/공산), 광주(廣州),
김해(金海), 서산(瑞山) |
137 | 경(慶) | 11 | 청주(淸州) |
138 | 지(智) | 11 | 봉산(鳳山) |
139 | 사공(司空) | 11 |
효령(孝寧), 군위(軍威)
|
140 | 소(邵) | 11 | 평산(平山) |
141 | 견(甄) | 11 |
전주(全州), 황간(黃磵)
|
142 | 장(長) | 10 | 인동(仁同) |
143 | 간(簡) | 9 | 가평(加平) |
144 | 류(劉)[劉] | 9 | |
145 | 형(邢) | 8 |
진주(晉州/반성)
|
146 | 상(尙) | 7 | 목천(木川) |
147 | 도(陶) | 7 |
순천(順天), 경주(慶州),
청주(淸州) |
148 | 위(韋) | 7 | 강화(江華) |
149 | 부(夫) | 6 | 제주(濟州) |
150 | 창(昌) | 6 |
거창(居昌), 창녕(昌寧),
공주(公州) |
151위~175위
본관 151위는 풍(馮) 으로 본관수는 6 개이며, 임구(臨朐) 등이 있습니다. 본관 152위는 궁(弓) 으로 본관수는 6 개이며, 토산(兎山/상원) 등이 있습니다. 본관 153위는 노(蘆) 으로 본관수는 6 개입니다.
순위 | 성씨 | 본관 수 | 대표 본관 |
151 | 풍(馮) | 6 | 임구(臨朐) |
152 | 궁(弓) | 6 |
토산(兎山/상원), 면산(綿山)
|
153 | 노(蘆) | 6 | |
154 | 목(睦) | 5 | 사천(泗川) |
155 | 범(范) | 5 | 금성(錦城) |
156 | 시(施) | 5 |
절강(浙江), 성주(星州)
|
157 | 서문(西門) | 5 |
안음(安陰/안의)
|
158 | 옹(邕) | 5 |
옥천(沃川), 순창(淳昌)
|
159 | 승(昇) | 5 |
남원(南原), 창평(昌平)
|
160 | 서(俆) | 5 |
달성(達城), 이천(利川),
대구(大邱) |
161 | 초(楚) | 5 |
성주(星州), 중원(中原),
한양(漢陽) |
162 | 전(錢) | 4 | 문경(聞慶) |
163 | 하(夏) | 4 | 달성(達城) |
164 | 당(唐) | 4 | 밀양(密陽) |
165 | 빙(氷) | 4 | 경주(慶州) |
166 | 엽(葉) | 4 | 경주(慶州) |
167 | 아(阿) | 4 |
나주(羅州), 양주(楊州),
익산(益山) |
168 | 평(平) | 4 |
충주(忠州), 가흥(嘉興/진도),
인천(仁川) |
169 | 독고(獨孤) | 4 |
남원(南原), 광능(廣陵)
|
170 | 원(袁) | 4 | 비안(比安) |
171 | 공(公) | 4 | 김포(金浦) |
172 | 견(堅) | 4 | 해주(海州) |
173 | 방(邦) | 4 | 무안(務安) |
174 | 구(丘) | 3 | 평해(平海) |
175 | 장(章) | 3 | 거창(居昌) |
176위~200위
본관 176위는 좌(左) 으로 본관수는 3 개이며, 청주(淸州) 등이 있습니다. 본관 177위는 설(偰) 으로 본관수는 3 개이며, 경주(慶州) 등이 있습니다. 본관 178위는 화(化) 으로 본관수는 3개이며, 진양(晉陽) 등이 있습니다.
순위 | 성씨 | 본관 수 | 대표 본관 |
176 | 좌(左) | 3 |
청주(淸州), 제주(濟州)
|
177 | 설(偰) | 3 | 경주(慶州) |
178 | 화(化) | 3 |
진양(晉陽), 나주(羅州)
|
179 | 방(龐) | 3 | 개성(開城) |
180 | 순(荀) | 3 | 홍산(鴻山) |
181 | 강(強) | 3 |
충주(忠州), 괴산(槐山)
|
182 | 지(地) | 3 | 충주(忠州) |
183 | 내(乃) | 3 | 개성(開城) |
184 | 이(異) | 3 | 밀양(密陽) |
185 | 매(梅) | 3 |
충주(忠州), 해주(海州)
|
186 | 창(倉) | 3 | |
187 | 종(鍾) | 2 |
영암(霊岩), 강화(江華)
|
188 | 양(粱) | 2 |
남원(南原), 제주(濟州)
|
189 | 백(百) | 2 | 수원(水原) |
190 | 마(麻) | 2 | |
191 | 황(皇) | 2 | |
192 | 채(菜) | 2 | |
193 | 심(沁) | 2 | |
194 | 대(大) | 1 | 밀양(密陽) |
195 | 판(判) | 1 | 해주(海州) |
196 | 권(勸) | 0 | |
197 | 리(李) | 0 | |
198 | 순(筍) | 0 | |
199 | 엄(儼) | 0 | |
200 | 양(揚) | 0 |
🔹 흥미로운 본관 이야기
- 본관이 같은 사람끼리는 원칙적으로 결혼이 금지되었습니다.
(근친혼 방지를 위한 법적 근거로 사용) - 일부 희귀 본관은 전국에 100명 이하만 존재합니다.
예: 풍기 진씨, 절강 팽씨, 남양 제갈씨 등 - 현대에는 본관 개념이 희미해졌지만,
여전히 주민등록표·혼인신고서에는 본관란이 존재합니다.
🔹 결론: 본관은 한국인의 뿌리를 잇는 문화
본관은 단순한 혈통 구분이 아니라 우리 민족의 정체성과 전통의 기록입니다.
해외에서도 한국인의 족보 체계는 그 정밀함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조상과 후손을 잇는 연결 고리로서,
본관을 아는 것은 나의 뿌리를 이해하는 첫걸음이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