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직 공무원 및 국가정보원 전문관 월급/연봉(연구사, 연구관, 국정원) - 2025년
연구직 및 국가정보원 공무원 월급/연봉 2025년
대한민국 연구직 및 국가정보원 공무원: 역할, 채용 방법, 급여, 승진 및 전망 총정리
대한민국에서 연구직 공무원과 **국가정보원 공무원(NIS)**은
각각 국가의 과학기술 발전과 국가 안보·정보 보안을 책임지는 전문직 공무원입니다.
연구직 공무원은 정부출연 연구기관, 국책 연구소, 대학 부설 연구소 등에서
R&D, 기술 개발, 정책 연구를 수행하며,
국가정보원 공무원은 국가 안보, 대외 정보 수집·분석, 방첩 활동, 사이버 보안 등
국가의 핵심 안보 인프라를 담당합니다.
이들은 모두 국가직 공무원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정보원(NIS) 등에서 근무하며
국가 경쟁력과 안보 역량을 강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1. 연구직 및 국가정보원 공무원이란?
(1) 연구직 공무원
- 국가 연구개발(R&D) 및 기술 혁신 수행
- 첨단과학, 환경, 산업, 농업, 의료, 경제, 정책 등 다양한 분야 연구
- 정부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응용 연구 지원
- 공공 연구기관 및 정부출연연구소(예: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산업기술연구원 등) 소속
(2) 국가정보원 공무원
- 국내외 정보 수집 및 분석, 국가 안보 유지
- 사이버 보안, 해킹 대응, 테러 예방, 방첩 활동 수행
- 국제 정보기관과 협력하여 대외 정보 교류 및 전략 분석
- 외국어, IT, 과학기술, 국제정치, 경제 등 전문 분야별 인력 운용
2. 연구직 및 국가정보원 공무원의 주요 역할 및 업무
(1) 연구직 공무원 주요 역할
- 정부 및 공공기관의 연구개발 과제 수행
- 산업 기술 혁신 및 공공기술 개발
- 정책 연구 및 국가 연구전략 수립
- 민·관 협력 연구를 통한 국가 경쟁력 강화
(2) 국가정보원 공무원 주요 역할
- 대외 정보 수집 및 국가 안보 정보 분석
- 사이버 공격 대응 및 보안 인프라 관리
- 테러, 산업스파이, 국제범죄 대응을 위한 첩보 분석
- 국가 재난 및 위기 대응 정보체계 구축
3. 연구직 및 국가정보원 공무원 채용 방법 및 선발 과정
(1) 연구직 공무원 채용
- 국가직 5급 공개채용: 기술직 및 연구직 필기시험을 통해 선발
- 박사급 연구원 경력채용: 일정 연구경력자 대상 특채 제도 운영
- 정부출연연구소 자체채용: 각 연구소별 연구관·연구사 채용
(2) 국가정보원 공무원 채용
- 정기 공개채용(5급·7급): 정보분석관, 연구관, 기술요원 등 선발
- 특별채용(특채): 사이버 보안, 외국어, 과학기술, 경제, 국제분야 전문가 대상
- 면접·신원조회 강화: 직무 적성검사, 신체검사, 신원조사 등 다단계 선발
4. 연구직 및 국가정보원 공무원 급여 및 복지 혜택
(1) 연구직 공무원 급여 (2025년 기준)
연구직은 일반직보다 약간 높은 연구지원비 및 성과급이 추가됩니다.
직급에 따라 연구사(7급 상당), **연구관(5급 상당)**으로 구분됩니다.
연구사 월급/연봉
호봉 | 월급 | 연봉 |
1 | 2,173,600 | 26,083,200 |
2 | 2,261,300 | 27,135,600 |
3 | 2,357,500 | 28,290,000 |
4 | 2,462,900 | 29,554,800 |
5 | 2,593,500 | 31,122,000 |
6 | 2,721,000 | 32,652,000 |
7 | 2,848,800 | 34,185,600 |
8 | 2,976,500 | 35,718,000 |
9 | 3,103,300 | 37,239,600 |
10 | 3,230,300 | 38,763,600 |
11 | 3,325,900 | 39,910,800 |
12 | 3,421,500 | 41,058,000 |
13 | 3,517,600 | 42,211,200 |
14 | 3,613,300 | 43,359,600 |
15 | 3,708,700 | 44,504,400 |
16 | 3,784,900 | 45,418,800 |
17 | 3,860,400 | 46,324,800 |
18 | 3,936,800 | 47,241,600 |
19 | 4,012,100 | 48,145,200 |
20 | 4,088,100 | 49,057,200 |
21 | 4,161,200 | 49,934,400 |
22 | 4,234,900 | 50,818,800 |
23 | 4,308,300 | 51,699,600 |
24 | 4,381,500 | 52,578,000 |
25 | 4,454,400 | 53,452,800 |
26 | 4,505,000 | 54,060,000 |
27 | 4,555,400 | 54,664,800 |
28 | 4,606,100 | 55,273,200 |
29 | 4,654,900 | 55,858,800 |
30 | 4,705,200 | 56,462,400 |
31 | 4,755,400 | 57,064,800 |
32 | 4,799,300 | 57,591,600 |
33 | 4,843,400 | 58,120,800 |
34 | 4,886,600 | 58,639,200 |
35 | 4,930,100 | 59,161,200 |
36 | 4,970,600 | 59,647,200 |

연구관 월급/연봉
호봉 | 월급 | 연봉 |
1 | 2,798,500 | 33,582,000 |
2 | 2,935,700 | 35,228,400 |
3 | 3,072,600 | 36,871,200 |
4 | 3,209,700 | 38,516,400 |
5 | 3,346,300 | 40,155,600 |
6 | 3,544,200 | 42,530,400 |
7 | 3,741,300 | 44,895,600 |
8 | 3,938,100 | 47,257,200 |
9 | 4,134,100 | 49,609,200 |
10 | 4,330,000 | 51,960,000 |
11 | 4,504,500 | 54,054,000 |
12 | 4,678,800 | 56,145,600 |
13 | 4,850,800 | 58,209,600 |
14 | 5,024,200 | 60,290,400 |
15 | 5,195,900 | 62,350,800 |
16 | 5,363,200 | 64,358,400 |
17 | 5,529,700 | 66,356,400 |
18 | 5,696,700 | 68,360,400 |
19 | 5,861,800 | 70,341,600 |
20 | 6,027,400 | 72,328,800 |
21 | 6,165,300 | 73,983,600 |
22 | 6,302,200 | 75,626,400 |
23 | 6,439,600 | 77,275,200 |
24 | 6,576,300 | 78,915,600 |
25 | 6,713,400 | 80,560,800 |
26 | 6,828,000 | 81,936,000 |
27 | 6,944,000 | 83,328,000 |
28 | 7,059,000 | 84,708,000 |
29 | 7,173,300 | 86,079,600 |
30 | 7,288,200 | 87,458,400 |
31 | 7,377,000 | 88,524,000 |
32 | 7,466,000 | 89,592,000 |

💡 성과급, 연구비, 특수근무수당 등을 포함하면 실제 연봉은 평균 10~20% 더 많습니다.
(2) 국가정보원 공무원 급여 (2025년 기준)
- 기본급 + 특수근무수당 + 보안수당 + 위험수당 + 성과급
- 실제 연봉은 동급 일반 공무원보다 평균 15~30% 높음
- 7급 기준 월 300만~400만 원, 5급 기준 월 400만~550만 원 수준
(3) 공통 복지 혜택
- 정년 보장 (만 60세까지 근무 가능)
- 공무원연금 및 퇴직수당 지급
- 건강보험, 복지포인트, 장기근속 포상 제도
- 연구활동비, 해외연수비, 자녀 학비보조 등 다양
5. 연구직 및 국가정보원 공무원의 승진 및 경력 발전
연구직 공무원
- 연구사 → 연구관 (약 5~7년 소요, 연구부서장 역할 수행 가능)
- 연구관 → 연구사무관/연구정책관 (정부 부처 연구정책 총괄직)
- 일부는 **고위공무원단 연구직(국가연구소장, 본부장)**으로 진출 가능
국가정보원 공무원
- 정보분석관 → 정보국장 → 부원장 → 원장
- 전문분야(사이버 보안, 국제분석, 대공수사 등)별 승진 체계 존재
- 내부 평가와 보안등급에 따라 비공개 승진체계 운영
6. 퇴직 후 진로 및 취업 전망
연구직 공무원
- 공공기관 및 연구소: 산업기술연구원, KIST, KDI, 국책연구기관 등에서 근무 가능
- 민간기업 R&D 부서: 삼성, LG, SK 등 대기업 연구개발 및 기술전략 부서 진출
- 국제기구 및 대학 연구소: UN, OECD, 해외 대학 연구기관 진출 가능
국가정보원 공무원
- 보안·정보 분야 민간 이직: 사이버보안 기업, 글로벌 정보컨설팅사, 금융보안원 등
- 정부·공공기관 재취업: 외교부, 행정안전부, 국방부 등 협력기관
- 보안자문 및 컨설턴트 활동: 보안정책 자문위원, 국제정보협력 고문 등으로 활동 가능
7. 대한민국 연구직 및 국가정보원 공무원 전망
연구직 공무원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AI, 반도체, 바이오, 기후기술 분야 수요 폭증
- 국가 R&D 투자 확대와 함께 고급 연구 인력 지속 채용
- 정부출연연구소와 민간기업 간 공동연구 활성화로 경력 다양화
국가정보원 공무원
- 사이버전, 정보전, 글로벌 안보 경쟁 심화에 따른 역할 확대
- AI 기반 정보 분석, 위성정보, 해킹 대응 등 첨단 기술 활용 강화
- 국가 안보 인프라 고도화로 정보 인력의 중요성 급증
8. 결론
연구직 및 국가정보원 공무원은 각각 국가 과학기술 발전과 국가 안보 유지를 담당하는
대한민국의 핵심 전문 공무원 직군입니다.
- 승진 기회 및 전문성 강화: 연구관·정보국장·부원장 등 고위직 진출 가능
- 전망: 첨단기술, 정보보안, 데이터 분석 수요 증가로 지속적 채용
- 안정성과 사회적 위상: 국가를 대표하는 전문직 공무원으로서 높은 자부심
앞으로 연구직과 국가정보원 직군은
기술 혁신과 글로벌 안보 환경 변화 속에서
국가 경쟁력을 이끄는 핵심 인재군으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이들은 단순한 공무원이 아니라,
국가의 미래를 설계하고 지키는 전문 전략가이자
국민의 안전과 기술 주권을 책임지는 엘리트 직군으로 평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