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인 월급(병장 월급, 이등병, 일병, 상병) - 2023년
2023년 군인 월급
군인(병사) 월급이 꾸준히 증가하여 올해부터 병사 월급이 병장 기준으로 100만원이 되었습니다. 지난해 병장 기준으로 67만 6100만원에서 23만 3900원이 증가한 100만원이 되었습니다. 상병은 61만 200원에서 80만원, 일병은 55만 2100원에서 68만원, 이병은 51만 100원에서 60만원으로 각각 월급이 큰 폭으로 인상되었습니다.
정부에서는 2025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군인 월급을 인상할 계획이며, 젊은 나이에 징병되는 군인 장병들의 복지 또한 개선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복무 기간
입대 후 육군과 해병대는 18개월, 해군은 20개월, 공군은 21개월을 복무하게 됩니다. 육해공을 제외한 그 외에 사회복무요원은 21개월, 산업기능요원은 23개월을 복무해야 합니다.
구분 | 복무 기간 |
육군 | 18개월 |
해군 | 20개월 |
공군 | 21개월 |
해병대 | 18개월 |
사회복무요원 | 21개월 |
산업기능요원 | 23개월 |
▶ 육군/해병대 계급별 복무기간
육군/해병대의 경우 이병은 2개월, 일병과 상병은 6개월, 그리고 병장은 4개월을 복무하여 총 18개월을 복무하게 됩니다.
계급 | 복무 기간 |
이병 | 2개월 |
일병 | 6개월 |
상병 | 6개월 |
병장 | 4개월 |
▶ 해군 계급별 복무기간
해군의 경우 이병은 2개월, 일병과 상병, 그리고 병장은 6개월을 복무하여 총 20개월을 복무하게 됩니다.
직급 | 복무 기간 |
이병 | 2개월 |
일병 | 6개월 |
상병 | 6개월 |
병장 | 6개월 |
▶ 공군 계급별 복무기간
해군의 경우 이병은 2개월, 일병과 상병은 6개월, 그리고 병장은 7개월을 복무하여 총 21개월을 복무하게 됩니다.
직급 | 복무 기간 |
이병 | 2개월 |
일병 | 6개월 |
상병 | 6개월 |
병장 | 7개월 |
이등병(이병) 월급
이등병은 병사 계급 중 계급 중 제일 낮은 계급이며, 훈련병 과정을 모두 이수하고 자대배치를 받은 후에 국군 이등병이 됩니다. 이제 막 군생활을 시작했기 때문에 모든 일에 숙달되지 않은 초급병입니다.
2014년 이등병의 월급은 11.2만원 이었습니다. 그 이후 꾸준히 증가하면서 2023년 기준으로 60만원의 월급을 수령하게 되었습니다. 이등병의 월급은 약 10년간 5.35배 증가하였습니다.
년도 | 이병 월급(원) | 상승률(%) |
2014 | 112,500 | 15 |
2015 | 129,400 | 15 |
2016 | 148,000 | 15 |
2017 | 163,000 | 9.6 |
2018 | 306,100 | 87.8 |
2019 | 306,100 | 0 |
2020 | 408,100 | 33.3 |
2021 | 459,100 | 12.5 |
2022 | 510,100 | 11.1 |
2023 | 600,000 | 29.9 |
일등병(일병) 월급
일등병은 병사 계급 중 이등병의 위, 상등병의 아래에 위치합니다. 이등병으로 입대한 군인이 군복무를 할 수 있게 될 정도로 훈련을 받아 훈련이 완료되면 진급시키는 계급입니다.
2014년 일병의 월급은 12.1만원 이었습니다. 그 이후 꾸준히 증가하면서 2023년 기준으로 68만원의 월급을 수령하게 되었습니다. 일병의 월급은 약 10년간 5.6배 증가하였습니다.
년도 | 일병 월급(원) | 상승률(%) |
2014 | 121,700 | 15 |
2015 | 140,000 | 15 |
2016 | 161,000 | 15 |
2017 | 176,400 | 9.6 |
2018 | 331,300 | 87.8 |
2019 | 331,300 | 0 |
2020 | 441,700 | 33.3 |
2021 | 496,900 | 12.5 |
2022 | 552,100 | 11.1 |
2023 | 680,000 | 29.9 |
상등병(상병) 월급
상등병은 병사 계급 중 일등병의 위, 병장의 아래에 위치합니다. 상등병은 군생활이 어느정도 숙달되어 작전에 투입됐을 때 무리없이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정도의 훈련을 받은 병사입니다.
2014년 상병의 월급은 13.4만원 이었습니다. 그 이후 꾸준히 증가하면서 2023년 기준으로 80만원의 월급을 수령하게 되었습니다. 상병의 월급은 약 10년간 5.9배 증가하였습니다.
년도 | 상병 월급(원) | 상승률(%) |
2014 | 134,600 | 15 |
2015 | 154,800 | 15 |
2016 | 178,000 | 15 |
2017 | 195,000 | 9.6 |
2018 | 366,200 | 87.8 |
2019 | 366,200 | 0 |
2020 | 488,200 | 33.3 |
2021 | 549,200 | 12.5 |
2022 | 610,200 | 11.1 |
2023 | 800,000 | 29.9 |
병장 월급
병장은 병사의 계급 중 하나로 상등병의 위, 하사의 아래에 위치합니다. 병사 중에 가장 높은 계급입니다. 병사 복무기간이 만료되면 전역하게 되며 전역 후에도 예비역으로 병장 계급이 유지됩니다.
2014년 병장의 월급은 14.9만원 이었습니다. 그 이후 꾸준히 증가하면서 2023년 기준으로 100만원의 월급을 수령하게 되었습니다. 병장의 월급은 약 10년간 6.7배 증가하였습니다.
년도 | 병장 월급(원) | 상승률(%) |
2014 | 149,000 | 15 |
2015 | 171,400 | 15 |
2016 | 197,000 | 15 |
2017 | 216,000 | 9.6 |
2018 | 405,700 | 87.8 |
2019 | 405,700 | 0 |
2020 | 540,900 | 33.3 |
2021 | 608,500 | 12.5 |
2022 | 676,100 | 11.1 |
2023 | 1,000,000 | 29.9 |
군인 월급표
2025년까지 병장 기준 150만원으로 단계적으로 봉급 인상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내일 준비지원금도 2025년까지 55만원으로 올라 병장 기준 실질적으로 200만원 정도의 월급을 받게 됩니다.
년도 | 이병 | 일병 | 상병 | 병장 | 상승률(%) |
2014 | 112,500 | 121,700 | 134,600 | 149,000 | 15 |
2015 | 129,400 | 140,000 | 154,800 | 171,400 | 15 |
2016 | 148,000 | 161,000 | 178,000 | 197,000 | 15 |
2017 | 163,000 | 176,400 | 195,000 | 216,000 | 9.6 |
2018 | 306,100 | 331,300 | 366,200 | 405,700 | 87.8 |
2019 | 306,100 | 331,300 | 366,200 | 405,700 | 0 |
2020 | 408,100 | 441,700 | 488,200 | 540,900 | 33.3 |
2021 | 459,100 | 496,900 | 549,200 | 608,500 | 12.5 |
2022 | 510,100 | 552,100 | 610,200 | 676,100 | 11.1 |
2023 | 600,000 | 680,000 | 800,000 | 1,000,000 | 29.9 |
부사관 월급(하사, 중사, 상사, 원사) - 2023년
부사관이란? 부사관은 군대에서 장교와 병사 사이에 있는 계층의 간부로서 하사/중사/상사/원사의 계급을 가진 육/해/공군의 군인을 가리킵니다. 부사관은 통상 육군의 분/소대와 같은 규모의
intoday.kr
준위 월급 - 2023년
준위(준사관)란? 준사관은 군대 계급 중 하나로서, 대한민국 국군에서의 준사관은 사관 즉 장교 바로 아래, 부사관의 바로 위에 속해 장교급의 대우를 받는 간부급 군인을 말합니다. 준사관은 보
intoday.kr
장교 월급(소위, 중위, 대위, 소령) - 2023년
장교란? 장교는 한국군에서 위관급 이상의 계급의 간부를 말합니다. 부사관과 병을 지휘하는 계급으로 사관학교나 일반대학교 재학자 또는 졸업자들 가운데 선발됩니다. 장교와 대응되는 상대
intoday.kr